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묘역

Home주요묘역
  • 공원 내 인물
  • 이달의 인물
  • 공원 내 기념물

공원 내 인물

서해 최학송
1901. 1. 21.(함경북도 성진군) ~ 1932. 7. 9.
“빈궁 문학의 최고봉”
일제 강점기 밑바닥 삶의 체험을 소설로 승화시킨 소설가. 「탈출기」, 「홍염」 등 작품을 남김.
  • 1901
    1월 21일 함경북도 성진군 출생
  • 1915
    성진보통학교 3년 중퇴
  • 1918
    1918~1923년 간도로 건너가 각종 노동을 함
  • 1924
    상경, 봉선사에 머묾. 《조선문단》에 단편 「고국」으로 데뷔
  • 1925
    조선문단사 입사. 「탈출기」 발표, 김기진의 권유로 카프에 가입
  • 1926
    창작집 『혈흔』 발간, 시조시인 조운의 조분려와 결혼(4월8일)
  • 1927
    조선문단사 간사에 임명, 《현대평론》 기자, 기생문인잡지 《장한》 편집 등
  • 1929
    카프 탈퇴. 중외일보, 매일신보 기자로 활동
  • 1931
    매일일보 학예부장. 창작집 『홍염』 간행(삼천리사)
  • 1932
    7월 9일 위문협착증으로 사망, 한국 최초 문인장으로 거행(미아리공동묘지)
  • 1958
    9월 25일 망우리묘지로 이장

1901년 1월 21일 함경북도 성진군에서 출생하여 1918년 고향을 떠나 간도로 건너가 방랑과 노동을 하면서 문학 공부를 계속하였다. 1923년 간도를 나와 국경지방인 회령에서 잡역부 일을 하기도 하였다. 1924년 작가로 출세할 결심을 하고 조선문단사에 입사하였다. 1927년 현대평론사의 기자로 일하기도 하였다. 1929년 중외일보 기자, 1931년 매일일보 학예부장으로 일하다 별세하였다.

1924년 1월 동아일보에 단편소설토혈을 발표한 일이 있으나 같은 해 10월 조선문단에 「고국이 추천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토혈이 처녀작이라면, 「고국은 데뷔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부터 대략 장편 1편, 단편 35편 내외를 발표하였다. 그의 소설들은 빈궁을 소재로 하여 가난 속에 허덕이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주류를 이룬다

신경향파 작가 중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썼는데, 간도 유민이나 가난한 농민들의 비참한 궁핍상을 그린 토혈·탈출기·박돌의 죽음·기아와 살육등은 비극적인 결말이 공통적이다. 대표작 기아와 살육(조선문단, 1925.5)은 사건의 전개에 박진감이 돋보이며 초기 신경향파 작가였던 박영희나 김기진의 작품과는 다르게 사건 전개에 무리가 없고 인물의 성격이 생생하게 살아 있다. 그이유는 중심제재가 작가의 체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것을 치밀하게 그렸기 때문이다. 그 뒤 큰물진 뒤(개벽, 1925. 12)·폭군(개벽, 1926. 1)·5원 75전(동아일보, 1926. 1. 1~5)·이역원혼(동광, 1926. 11)·무서운 인상(동광,1926. 12) 등을 통해 없는 자, 핍박받는 자의 입장을 대변했다. 

1927년에 들어와서는 쥐 죽인 뒤·홍염(조선문단, 1927. 1)·전아사(동광, 1927. 1) 등을 발표했는데, 특히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표작인 홍염은 가난과 굶주림 속에 놓인 섬 마을 사람들의 의식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1927년 이후에는 주로 소시민 계급의 일상과 자신의 체험을 소재로 한 작품을 썼으며,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먼동이 틀 때(조선일보, 1929. 1. 1~2. 26)·같은 길을 밟는 사람들(신소설, 1929. 12)·호외시대(매일신보, 1930. 9.20~1931. 8. 1) 등이 있다. 소설 외에 동화 누구의 편지(신생명, 1923. 9)·평화와 임금(신생명, 1923. 12), 수필 그리운 어린 때(조선문단, 1925. 3)·여름과 나(동광, 1927. 8) 등 50여 편과 평론 근대 노서아문학개관(조선문단, 1924. 12)·데카단의 상징(별건곤, 1927. 12)·농촌대중과 문예운동(동아일보, 1929. 7. 5~10) 등을 썼다. 소설집으로 혈흔(1926)·홍염(1931)·탈출기(1975) 등이 있으며, 1987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최서해전집을 펴냈다.



top